재해대책本, 이달부터 조기 가동
차량·시설·역사 등 설비 특별점검
작업자 안전 강화·이용객 불편 최소화

수도권에 폭설이 내린 지난해 27일 오후 서울 1호선 용산역에서 열차가 주행하고 있다. 2024.11.27 / 철도경제
수도권에 폭설이 내린 지난해 27일 오후 서울 1호선 용산역에서 열차가 주행하고 있다. 2024.11.27 / 철도경제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겨울철을 대비해 재해대책본부를 조기 가동하고 분야별 안전대책을 시행한다.

코레일은 재해대책본부를 이달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4개월간 운영하며, 겨울철 위험요인 및 장애사례를 분석해 △열차운행 안전 △작업자 안전 △이용객 안전 등 6개 분야 35개 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먼저, 다음달까지 철도 차량·시설·역사 등 핵심 설비 대상으로 동절기 특별점검을 시행한다.

겨울은 한파와 폭설로 인해 차량 분야 장애 발생률이 다른 계절보다 높아 촘촘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 이에 KTX, ITX-마음, 전동열차 등 전체 차량을 중점 정비한다.

눈 피해 최소화를 위해 KTX에 눈 유입 차단막 설치, 착설방지 약품 도포 등도 실시한다.

또 지난해 이례적 습설로 전동열차 전력공급 중단(팬터그래프 미상승)이 발생했던 것에 대비해 차량기지 3곳에 별도 급전설비를 구축했다.

시설 분야에선 기온 급락 시 발생하는 레일 절손 예방을 위해 균열 탐지, 연마 등 정비를 강화한다. 파손 시 신속한 조치를 위한 비상복구자재는 모든 소속에 배치한다.

승강장안전문(PSD)은 동결로 발생하는 장애를 줄이기 위해 열차가 다니지 않는 야간시간에도 자동 개폐하도록 조치한다. 역사 등 건축설비 배수관로 600여곳에는 열선설치와 보강작업을 실시해 동파를 방지할 계획이다.

선로변에 남은 눈과 얼어붙은 자갈은 열차가 빠른 속도로 지나갈 때 서로 부딪혀 튀면서 유리창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어, 피해 위험이 있는 곳에 도상안정제를 뿌리고 자갈스크린매트와 방호벽을 점검한다.

기온에 민감한 전철 설비도 지난달까지 선제 점검을 마쳤다. 전국에 있는 주요 분기기의 히팅 장치 6313개소, 전차선 수축 방치를 위한 조정장치 1만 9732개소 등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이에 더해, 동절기 전력 사용 급증으로 인한 전기화재 위험을 낮추기 위해 변압기와 배전반 등 주요 전기설비의 소방안전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과부하, 누전 등 세부 점검을 강화해 화재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아울러, 전력공급 장애를 일으키는 일반선 노후터널의 고드름 제거를 위해 대책도 추진 중이다.

경전선 남평~화순 구간을 달리는 무궁화호 열차. 2021.01.07 / 철도경제
경전선 남평~화순 구간을 달리는 무궁화호 열차. 2021.01.07 / 철도경제

작업자 안전에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현재 코레일은 고용노동부의 '공공기관 발주공사현장 집중 점검기간'인 이달 한 달간 50억 원 이상 건설발주공사 현장(30개소)의 △안전보건대장 이행점검 △안전관리 실태 △위험성평가 적정성 △핵심 안전수칙 준수여부 등을 특별 점검하고 있다.

외부 작업자 근무 현장에선 위험작업(55개) 2인 1조 작업 이행여부와 안전관리자 역할 준수, 주요 위험요인에 대한 안전조치 상태 등도 점검하고 있다.

본격적인 한파가 시작되기 전에 현장에서 '한파안전 5대 기본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5대 수칙은 △따뜻한 옷 △따뜻한 쉼터(휴식) △따뜻한 물 △작업시간대 조정 △119 신고 등이다.

또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보호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다국어 한랭질환 예방 가이드 자료(17개 국어)를 협력업체 제공했다. 

겨울철 철도 이용객의 안전 확보에도 힘쓴다. 폭설과 도로 교통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전동열차를 증편해 교통난을 해소하고, 역사마다 제설 용품과 미끄럼 방지 매트를 비치할 계획이다.

실제 상황을 가정한 비상복구 훈련도 정기적으로 실시해 이례상황 발생 시 이용객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정정래 사장직무대행은 "최근 이상기후로 예측이 힘든 자연재해에 대비해 안전한 열차 운행은 물론 국민과 작업자 보호를 위한 현장 안전관리 강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철도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