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 명 동의 시 국회 논의 돌입
주요 역사 중심 시민 현장 홍보
부산교통공사는 지난 14일부터 이틀간 '도시철도 무임손실 국비보전 법제화를 촉구하는 대시민 홍보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번 캠페인은 지난달 27일 시작한 ‘도시철도 무임손실 국비보전 법제화 촉구’ 국민동의청원과 연계해 실시됐다.
공사는 시민들에게 무임수송으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현실과 국비 보전 필요성을 알리고 청원 참여를 독려했다.
14일 오전 1호선 시청역에서 출근길 시민들을 대상으로 캠페인을 시작해, 같은 날 오후엔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관람객이 집중되는 2호선 센텀시티역에서 홍보를 이어갔다.
15일에는 '부산불꽃축제'를 찾은 시민들을 대상으로 2호선 수영역과 광안역에서 국민청원 참여를 유도했다.
공사는 시민들로부터 "무임수송 손실이 도시철도 적자의 절반을 차지하는지 몰랐다"며 "모든 국민이 만 65세만 되면 동일한 혜택을 받는 만큼 정부도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는 반응이 이어졌다고 전했다.
또 공사는 역사 내 디지털 광고판, 공익광고 게시판, 공식 SNS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청원 참여를 확대하고 유동 인구가 많은 역을 중심으로 현장 홍보도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해당 국민동의청원은 오는 26일까지 진행되며, 5만 명 이상 동의를 얻을 경우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도시철도 무임수송 손실에 대한 국비지원 법제화가 의무적으로 논의된다.
이병진 사장은 "무임수송제도는 세대 간 상생과 사회적 연대를 위한 중요한 제도"라며 "시민 여러분의 청원 참여가 초고령화시대 지속가능한 교통복지를 실현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곽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