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후 4시 기준 5만 181명
국회 상임위 회부 예정...논의 본격화
지하철 무임손실 국비 지원 법제화 촉구를 위한 국회 국민동의 청원이 국회 심사요건인 5만 명을 넘겼다.
서울교통공사는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 노사와 함께 진행 중인 지하철 무임손실 국비 지원 국민 청원이 24일 오후 4시 기준 5만 181명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7일 시작돼 종료를 이틀 남긴 이번 청원은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운영기관의 재정적 한계를 국민에게 알리고, 국회서 무임수송제도 개선 관련 논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청원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무임 수송 인원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국민 5명 중 1명이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하는 현실에 놓여있다"며 "운영기관의 재정 악화 속에 국민의 이동권이 위협받지 않도록 무임손실 국비 지원을 위한 도시철도법 등 개정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6개 기관은 국회 국민동의 청원 5만 명 달성을 위해 각 기관 홈페이지와 역에 현수막과 포스터를 게시하고, 온·오프라인 인증 이벤트 등을 진행하는 등 총력전을 벌였다.
특히,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 노조 협의체인 궤도협의회는 자체 예산으로 왕십리역, 덕수궁 돌담길 등 5개소에서 커피 3000여잔을 나누는 행사를 진행하며 대시민 선전전을 펼치기도 했다.
이번 청원이 국민적 공감대를 얻는 데 성공하며 안건은 조만간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될 예정이다.
현재 22대 국회에는 지하철 무임손실 국비 지원을 골자로 하는 도시철도 개정안, 노인복지법·장애인복지법 개정안 등 4건이 계류 중이다.
한영희 사장 직무대행은 "지하철 무임 수송은 대통령 지시와 노인복지법 등 정부의 정책적 판단으로 도입됐다"며 "어르신 복지 향상 및 경제활동 보장 등 그혜택도 국가에 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와 정부는 이번 청원에 담긴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국민께서는 관련 법안이 통과될 때까지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 최석영 기자

